728x90 Java33 [Java] Stream API의 효율적인 사용법과 주의할 점 개요 최근 프로젝트에서 다수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방법을 고민하다가 Java Stream API를 접하게 되었다. 반복문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던 기존의 방식에 비해 코드가 간결해지고 가독성도 높아져서 많은 도움이 되었다. 하지만, Stream API를 처음 사용하다 보면 실수를 할 수 있는 부분도 많고, 성능 이슈가 발생할 수 있는 점들이 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Java Stream API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주의할 점들을 정리해 보려고 한다. Java Stream API란 무엇인가? Stream API는 자바 8에서 도입된 기능으로, 컬렉션 데이터(리스트, 맵 등)를 선언적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 스트림을 사용하면 루프 없이도 데이터를 필터링, 매.. 2024. 9. 25. 자바에서 불변 객체(Immutable Object) 만들기 개요최근 프로젝트에서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동시성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고민하던 중, 불변 객체(Immutable Object)를 사용하는 것이 코드 안정성에 큰 도움이 된다는 점을 깨달았다. 여러 스레드가 동일한 객체를 참조할 때, 객체의 상태가 변하지 않으면 추가적인 동기화 처리가 필요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자바에서 불변 객체를 만드는 방법과 그 장점을 소개하려 한다. 불변 객체란 무엇인가? 불변 객체란, 한 번 생성된 후 내부 상태가 절대 변경되지 않는 객체를 말한다. 즉, 객체가 생성된 이후에 그 속성들은 수정할 수 없다. 대표적으로 자바의 String 클래스가 불변 객체로 설계되어 있다. 불변 객체는 주로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동시성 문제를 해결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불변 객.. 2024. 9. 25. [Java] 자바에서 Optional의 올바른 사용법 개요개발을 하면서 가장 많이 만나는 예외 중 하나가 NullPointerException(NPE)이다. 특히 객체가 null일 때 이를 처리하지 않고 사용하면 프로그램이 예기치 않게 종료될 수 있다. 최근에 내가 작업하던 프로젝트에서도 이런 상황을 여러 번 마주쳤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Optional을 활용해 NPE를 방지하고자 했지만, Optional의 잘못된 사용법을 보고 오히려 코드가 복잡해지는 경우도 경험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자바의 Optional을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법과 피해야 할 안티패턴을 설명하고자 한다. Optional이란 무엇인가? Optional은 자바 8에서 추가된 클래스다. 이 클래스는 값이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는 객체를 감싸서 NPE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기본적으.. 2024. 9. 24. [Java] 공통 적용 JsonDeserializer 만들어 보기 개요외부 api와 통신하여 작동하는 기능 개발 시, 외부에서 리턴되는 상태 코드 등을 애플리케이션 내부에서 사용하려고 하면 해당 코드를 활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고는 한다. 아래는 카카오톡 비즈메시지 센터 API 중, 알림톡 템플릿 정보 조회 결과에 대한 리턴값 중 일부이다. 위와 같이 검수 결과가 REG, REQ 등과 같은 한 눈에 의미를 알 수 없는 약어로 축약되어 리턴되는데, 이를 애플리케이션 내부에서 원활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Enum을 선언하고 외부 api 결과값을 해당 Enum에 매핑하여 사용할 수 있다. public interface KakaoCommonType { T getCode(); String getTitle();}@RequiredArgsConstructorpublic en.. 2024. 9. 23. 이전 1 2 3 4 5 6 7 ··· 9 다음